1. 해피트리(헤테로파낙스 프라그란스)
잎이 웃는 모양과 닮아있어 보고 있으면 행복한 기분이 든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진 오늘의 식물은 해피트리(헤테로파낙스 프라그란스)입니다. 해피트리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이름으로 원래의 이름은 ‘헤테로파낙스 프라그란스’입니다. 한글로 된 이름이 따로 없다는 것이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 아쉬운대로 행복나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중국남부, 인도, 미얀마, 베트남 등이 원산지인 해피트리는 실내에서는 150센티미터까지 자라는 식물입니다. 잎이 얇고 부드러우며, 옆으로 넓게 퍼지는 가지가 매력적인 해피트리는 중국에서는 ‘황산풍’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대형종으로 키워지는데, 그 높이가 30미터까지 이른다고 합니다. 부귀를 준다고 알려져있어 조경수로 많이 이용됩니다. 잎의 색이 연한 녹색을 띄며 공간을 싱그럽게 만들어 주는데, 실내의 빛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2. 해피트리(헤테로파낙스 프라그란스) 행복한 반려식물로 키워보기
해피트리는 더운지역이 원산지이기 때문에 자라기에 적합한 온도는 21도에서 25도이지만,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잘 견딥니다. 겨울철에는 10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자리를 잘 잡아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이지만 직사광선에서는 잎이 마르고 타들어갈 수 있어 피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햇빛이 은은하게 들어오는 반양지, 반음지 지역이 가장 좋고 음지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비료는 두달에 한번 정도 수용성 비료를 주면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해피트리는 물을 좋아하지만, 너무 습하면 뿌리가 썩을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키울 때에는 조금 건조하게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잎이 검게 타는 증상이 생기면, 과습으로 인해 뿌리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봄, 여름, 가을에는 흙 표면이 말랐을 때 화분 구멍으로 물이 나올 정도로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상대적으로 성장이 더딘 겨울에는 화분의 흙 전체가 말랐을 때 충분히 물을 주면 됩니다.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분무기로 잎에 매일 물을 분무해주면 잎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해피트리는 환경에 예민한 식물입니다. 화원에서 집으로 왔을 때나, 집에서 키우면서도 위치를 갑자기 옮겨 환경이 바뀌면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잎을 모두 떨구거나, 축 쳐지는 현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나 햇빛에 민감해서 밝은 빛을 받던 해피트리가 갑자기 어두운 장소에 놓이면 이런 증상이 심화됩니다. 또한 통풍에 예민한 식물로, 통풍이 잘 되지 않는 곳에 두면 잘 자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형을 잘 잡아주기 위해 가지치기를 하기도 합니다. 빛의 방향과 새로 나는 가지와 잎을 잘 살펴 가지치기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지치기한 잎이나 가지를 물꽃이하여 뿌리가 내리면, 어린 해피트리부터 다시 키우기도 합니다.
3. 해피트리와 구분하기 어려운 식물, 녹보수
몇 달 동안 해피트리라고 생각하고 키운 식물인데, 조금 다른 것 같다고 얘기하시는 분들을 종종 본 적이 있습니다. 아주 어린 나무일 때 구분이 어려워 잘못 알고 들여온 ‘녹보수’라는 식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녹색의 보석같은 식물’이라는 뜻을 가진 녹보수는 색이 진하고 그 꽃이 아름다워 꽃을 보면 행운이 있다는 속설을 가진 식물입니다. 해피트리는 두릅나무과 식물로 잎이 작고 얇으며 하늘하늘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녹보수는 능소화과 식물로 해피트리에 비해 잎이 두꺼운 느낌이 들고, 잎 모양이 둥글넓적합니다. 모르고 키운 녹보수가 아름다워 그 매력에 푹 빠지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원하는 식물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고, 두 식물의 구분이 어려워 가끔씩 화원에서도 잘못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원하는 식물을 잘 볼 수 있는 눈을 키우면 좋을 듯 합니다.
4. 공기정화에 좋은 해피트리
해피트리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능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잎이 많은 식물들의 대부분이 공기정화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식물을 배치하는 실내 인테리어를 할 때 크기와 높이 그리고 공기정화능력은 중요한 기준 중에 하나입니다. 비교적 넓게 자라고, 높이가 높은 식물인 해피트리는 이러한 식물을 주로 놓는 실내인테리어에서 빠지지 않는 식물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